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에 대하여19

11. MBTI - ENTJ, 강력하고 강인한 지도자 유형 벌써 많은 MBTI 포스팅이 쌓였는데 오늘은 ISFP 유형의 완전 반대인 ENTJ 유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요즘 포스팅을 할 때 서론을 아예 빼놓고 작성하던 게 몇 가지 있었는데 오늘은 짧게나마 서론을 작성하려고 한다. 이 유형은 전체 인구에서 약 3%의 아주 적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이 유형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영향력은 어마어마하다고 생각한다. 미디어에서도 능력이 있는 리더로 많이 나오기도 하고, 실제로도 조직을 잘 이끌어갈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진 사람이 많다고 한다. ENTJ는 외향(Extrovert), 직관(iNtuition), 사고(Thinking), 판단(Judging) 이 4가지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형이다. 이 유형은 '엔티제' 혹은 '이엔티제이'라고 불린다. 이 유형이 가진 주 기능, .. 2023. 11. 30.
10. MBTI - ISFP, 새로운 탐구를 사랑하는 예술가 유형 ISFP는 내향(Introvert), 감각(Sensing), 감정(Feeling), 인식(Perceiving) 이 4가지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형이다. 이 유형은 보통 '아이에스에프피'라고 부르거나 '잇프피'라고 부르고 있다. 이 유형이 가진 주 기능, 부기능, 3차 기능, 열등 기능에 관해 설명하자면 ISFP 유형의 주 기능은 내향 감정(Fi)이며, 내면의 자아를 직접 탐구하고, 개인의 개성과 가치 등을 중요시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부기능은 외향 감각(Se)이며, 현실적인 문제와 사안을 두고 타협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리고 3차 기능은 내향 직관(Ni)이며, 생각을 토대로 이론과 예측을 이용해 본질을 인식하고 규칙을 인식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지만 주 기능과 부기능에 비해 덜 선호하는 편이다.. 2023. 11. 29.
09. MBTI - ESFP, 에너지가 넘치는 연예인 유형 ESFP는 외향(Extrovert), 감각(Sensing), 감정(Feeling), 인식(Perceiving) 이 4가지 조합으로 이루어진 유형이다. 이 유형은 보통 '이에스에프피' 혹은 '엣프피'라고 부른다. 이 유형이 가진 주 기능, 부기능, 3차 기능, 그리고 열등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면 ESFP 유형의 주 기능은 외향 감각(Se)이며, 현실적인 문제를 두고 자신 및 타인과 타협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편이다. 부기능은 내향 감정(Fi)이며, 내면의 자아를 직접 탐구하고, 개인의 개성과 가치 등을 중요시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3차 기능은 외향 사고(Te)이며, 객관적이고 입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남들에게 내세우거나 원칙을 토대로 외부를 통제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ESFP .. 2023. 11. 28.
08. MBTI - INTJ, 시크하지만 말랑한 유형 5번째로 포스팅할 유형은 INTJ이다. 바로 앞 포스팅 속 ENFP를 다루면서 이와 가장 특별한 관계성을 가진 유형이 INTJ 유형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빠르게 포스팅하고 싶었다. INTJ는 MBTI 밈이 많이 나왔을 때 '따뜻한 로봇'이라는 수식어를 가장 많이 본 것 같다. 그리고 친해지기 어려운 유형,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오는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대부분이었던 것 같다. 심지어 한창 유행 초반에 INTJ 유형인 크리에이터가 'INTJ의 특징'에 대해 영상을 올렸는데, 영상 속 크리에이터는 얼굴에 미소를 띤 채 설명하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댓글에 '이 사람은 INTJ가 아니다.', 'INTJ는 얼굴 비추는 거 별로 안 좋아하는데 영상 올리는 거 보면 아니다', '얼굴상이 INTJ가 아니다' 등 이상한.. 2023. 11. 27.